윈셀링은 효율적인 상품관리와 운영을 위해 공통상품분류와 자체상품분류를 제공합니다.
또한, 쇼핑몰 솔루션에서 사용되는 채널상품분류와 전시상품분류까지 제공합니다.
윈셀링에서는 통합 상품관리를 위해 [자체상품분류], [공통상품분류]를 활용합니다.
또한, 판매채널에서 활용되는 [채널상품분류], [전시상품분류]에 대해 알아봅니다.
윈셀링에서는 총 4가지의 상품분류를 사용합니다. 흔히들 쇼핑몰에서 말하는 카테고리가 상품분류입니다.
일반적인 상품분류는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상세분류] 형식으로 4단계 ~ 5단계까지 사용하여 상품을 분류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분류]라는 용어는 자주쓰이며 무의식적적으로 잦은 분류 행위를 하고 있는데 분류란 사전적인 명칭으로 "종류에 따라 가름"으로
유통시장에서의 상품분류란 상품을 각기 특정 분류명으로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정리한 것을 상품분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윈셀링에서의 상품분류는 첫번째 상품 검색의 용이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데 우리가 윈셀링을 통해 등록된 각 판매채널을 상품을 등록한다면 각 판매채널마다 제공하는 채널상품분류의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상품분류의 상품을 조회하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공통상품분류]와 [자체상품분류]로 SKU 상품부터 상품의 분류를 지정함으로서 상품관리의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윈셀링에서 상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헤 제공되는 [공통상품분류]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봅니다.
일반적으로 판매자가 모든 상품분류를 직접 지정하고 다양한 상품분류를 구성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상품분류체계를 구성하는 것은 종합몰과 같은 다양한 물건을 판매하는 업체이거나 온라인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아닌 경우 다양한 상품분류체계를 일반적인 판매자가 구성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공통상품분류는 윈셀링에서 지정하고 관리하는 상품분류로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상품분류가 윈셀링 서비스를 사용하는 모두에게 제공되는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윈셀링의 범용 상품분류입니다.
상품분류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품과 재고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각 상품마다의 분류를 지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공통상품분류를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을 수 있습니다.
윈셀링에서 [공통상품분류]를 통해 모든 사용자에게 상품분류를 제공한다면
내가 필요한 내용만 가지고 구성할 수 있는 별도의 상품분류를 구성하는 것이 [자체상품분류]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윈셀링은 공통상품분류를 통해 모든 사용자에게 범용 상품분류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필요한 상품분류만 구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에 사용되는 것이 자체 상품분류로 내가 직접 지정하여 상품분류를 지정하고 또한 판매채널마다의 상품분류를 직접 매칭해두어 사용하고 활용하는 기능입니다.
먼저 자체상품분류 관리를 위해 WinSeller Office 메뉴 상단의 [SKU 상품관리] - [상품분류] - [자체상품분류] 항목으로 접근합니다.
· 자체 상품분류는 내부 상품관리와 상품의 유통관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활용하는 자체 상품분류 입니다.
· 자체 상품분류는 최대 4단계까지 설정 가능합니다.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상세분류] 의 단계로 자체 카테고리를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 상품분류의 분류명을 클릭하시면 분류명을 변경 필드가 출력되며 입력 후 'Enter'키를 누르시면 저장 됩니다.
대분류 이후 중분류 부터는 대분류를 등록해야 각기 분류를 선택하여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자체 상품분류코드 구성은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순으로 숫자를 나열하는 방법도 있지만 분류의 깊이에 따라 분류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체상품분류 코드를 생성할 때에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각 분류별로의 코드의 길이를 정해두고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대분류 1은 [01] 코드를 갖고 대분류 2는 [02] 코드를 갖습니다. 중분류 1과 중분류 2는 대분류 1의 하위 자녀로 [0101] 코드와 [0102] 코드를 갖습니다. 이렇게 다시 중분류 2의 소분류 1과 소분류 2는 [010201] 코드와 [010202] 코드를 갖습니다. 즉 이 구성은 2자리 단위로 분류 깊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맨앞자리의 2자리로 해당 대분류가 어떤 분류인지 간략하게 확인이 용이합니다.
※ 자체상품분류 코드는 본 팁과 무관하게 자유롭게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자체상품분류코드는 중복되지 않도록 구성합니다.
자체상품분류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분류의 상단의 [+ 대분류 등록], [+ 중분류 등록], [+ 소분류 등록], [+ 상세분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분류를 제외한 분류를 추가할 경우에는 상위 분류가 선택되어야 합니다.
상품분류를 등록했다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상품분류가 목록에 노출됩니다.